세계, 내가 발 딛고 있는
La Mamma Motar(어머니는 돌아가시고)
스윙보이
2010. 12. 1. 11:12
확인되지 않은 괴담과 공포가, 마치 사실인양 유포되던,
에이즈 공포정치의 시대. 여전히 그 위세가 카랑카랑했던 1990년대. 어떤 영화는, 편견과 공포의 울타리로부터 벗어날 수 있도록 손을 내밀어준다. 말랑말한 시절이어서, 가능했던 것이었는지도 모르겠으나, 그것마저 없었다면 나는 공포의 손아귀에서 빠져나갈 생각조차 못했을 게다.
물론, 내 주변에서 직접적으로 맞닥뜨린 적, 없다.
관념이 현실앞에서 어떻게 발현할지 나도 솔직히 모르겠다.
꼭, 그날이라고 깝죽댈 건 아니겠다. 일상속에서 체화하면서, 언제든 어떻게든 내 자신도 노출될 수 있음을 직시하고, 스스로를 다듬고 노력하는 수밖에.
아울러, 음악의 힘, 그것이 가세했다. 누군가는 그것을 과잉이라고 일컫기도 했으나, 타인의 아픔과 고통에 무덤덤하지 않고 다만 한발짝이라도 나아갈 수 있는 힘은 음악에서도 증폭됐다. 마리아 칼라스가 내게 처음 다가온 순간. La Mamma Motar(어머니는 돌아가시고).
12월1일은, 세계 에이즈의 날. 영화는 <필라델피아>.
되씹는다. "에이즈는 의학적 위기가 아니라 정치적 위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