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계, 내가 발 딛고 있는

완벽한 남자는, 결국 없다!

선생이건, 어른이건, 교과서건, 아무도 알려주지 않았던 '전태일'을 맨처음, 

알려줬던 어른, 조영래. 


1992년 전태일 열사를 만났고, 인권 변호사 조영래를 처음 만났던 그때. 

그러나 조영래 변호사는 이미 세상을 떠나고 난 뒤였다. 1990년, 마흔 셋, 세상에 이른 죽음은 없다지만, 조영래 변호사는 이미 떠난 뒤였다.

1990년 12월 12일. 오늘은 22주기. 그러고 보면, 1212는 늘 춥다. 


 

 


그러나 전태일을 낳는 시절은 아직 끝나지 않는구나. 

대한문 '함께살자 농성촌'을 철거하겠다는 중구청의 행정집행 예고가 있었던 오늘.

다행히 파국은 면했다. 농성촌 대표단과 중구청이 대화를 갖고, 행정대집행(강제철거)은 취소됐다.

 

다행이지만, 이재영 진보신당 전 정책위의장이 돌아가셨단다.

사실, 잘 모르는 분이지만, 민주노동당, 진보신당 정책통을 맡으시면서 노동 감수성이 짙은 분이셨다는 트친의 전언이 있다. 노동계는 한 분의 정책통을 잃었다. 아쉽고 또 아쉽다.

 

조영래 변호사 기일과 맞물려, 내가 살고 있는 이곳이 늘 지옥임을 실감하게 한다.

< 드라마의 제왕 > 앤서니(김명민)도 또박또박 말하더라.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여기가 지옥이야." 

 

더 이상 전태일이 없길 바라는 것은, 

완벽한 남자를 기둘리는 여자의 마음과 같지 않을까 하는, 어쩌면 다림질로도 결코 펴지지 않을 절망감.

 

최근 <남자의 종말>이라는 책을 읽었는데, 찌질한 B급 마초로서 쪽팔리고 반성도 되고, MB시대 다시 강화된 '마초주의'를 사회적으로 어떻게 해결해야 할 것인가도 고민해야 하지 않나라는 생각이 언뜻. 


우석훈은 모든 정부 부처에 여성이라는 키워드를 가진 국이나 실을 하나씩 다 만들고, 사회적경제 등 여성성이 강조된 경제 정책부터 여성노동자, 여성 알바, 여성 농민 등 여성에 대한 세밀하면서도 디테일한 접근을 강조하는데. 마을에도 여성을 강조하는데, 여성성이 온누리에 퍼져 있다면 모를까, 마을여성실이라도 만들어야 하는 것 아닐까?


모르겠다. 우리는 어떻게 하면 한국 특유의 마초성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을까? 우선, 나부터. 고민이다. 

오늘, 조영래 변호사를 추모한다. 이재영 노동자를 추모한다.


그나저나, 퍼펙트 가이는 없다!ㅋ 

 

완벽한 남자 : 
무릎 꿇고 청소하는 것쯤은 개의치 않는다.



완벽한 남자 :
일이 끝나지도 않았는데, 중간에 쉬엄쉬엄 노는 짓은 하지 않는다.



완벽한 남자 :
옳지 않은 방향으로 비비지 않는다. 결코.



완벽한 남자 :
마트에 가서 장을 보는 것을 결코 꺼리지 않는다.
 


완벽한 남자 :
결코 수증기를 다 써버리지 않는다.
즉, 에너지나 열정을 결코 상실하지 않는다. 
.
.
.
.
.
.
.
.
.
.
.
.
.
.
.
그러나,
그 완벽한 남자를 기다리는 여성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