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의 몸을 해방시킨 선구자, 마가렛 생거
여성의 몸을 해방시킨 선구자, 마가렛 생거(Margaret Sanger) (1883.9.14~1966.9.6) 아이 낳을 권리, 낳지 않을 권리! 여성의 몸을 해방하라!! 여성의 몸은 당연히 여성 자신의 것입니다. 피임은 여성 자신의 몸을 통제, 출산력을 조정할 수 있는 권리이며, 세계보건기구(WHO), 국제가족계획연맹(IPPF)에서도 생식의 권리, 원하지 않은 아이를 출산하지 않을 권리, 피임선택권의 보장을 강조하고 있죠. 그런데 우습게도, 이런 당연한 논리나 원칙이 통하지 않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그때는 사회나 가족을 위한다는 구실로 생산과 육아를 통제하고, 이상하고 해괴망측한 의무 혹은 부담을 당연한 것으로 여겼습니다. 한마디로 여성의 몸은 온전히 여성의 것이 아니었던 거죠. 자녀 생산과 육아를 위..
더보기
프랑스혁명의 배후, 잔 마리 플리퐁(롤랑)
프랑스혁명의 배후, 잔 마리 플리퐁(롤랑)(Jeanne-Marie Phlipon) (1754.3.17~1793.11.8) 프랑스혁명의 소용돌이 속 단두대에 스러진 급진주의자 1789년 일어난 프랑스 혁명. 절대주의 왕정을 폐기하고 개인(시민)의 권리를 고양한 시민혁명이었습니다. 문명에 대한 비판과 인민주권론 등이 혁명의 기초가 됐으며, 인간의 자유․평등, 국민주권, 법 앞의 평등, 사상의 자유와 인권선언 등을 명시함으로써 근대 민주주의 발전의 초석을 다진 일대 사건이었죠. 이 혁명의 대열에 적극 동참했던 이 사람, 잔 마리 플리퐁(별칭 마농 플리퐁). 그는 프랑스혁명의 한 주역이자 실세였습니다. 그는 부유한 제판공 아버지를 둔 덕에, 다양한 책과 사상을 접하면서 자랐어요. 루소, 볼테르, 몽테스키외 등 ..
더보기
은둔 속에 핀 예술혼, 에밀리 디킨슨
은둔 속에 핀 예술혼, 에밀리 디킨슨 (Emily Dickinson, 1830~1886년) 그리고 1775편의 시 살아생전, 주목받지 못했습니다. 1800여 편에 달하는 시는 그저 혼자 내뱉은 독백 같았습니다. 사랑, 이별, 죽음, 영혼, 천국, 자연 등을 다룬 시는, 은둔생활 속에서 핀 꽃이었나 봐요. 그는 내내 고독했지만, 그 고독은 그의 모든 것이었던 시를 잉태한 동력이었습니다. 시와 고독을 평생 친구로 곁에 두고 지냈던 이 사람, 영문학사상 최고 시인 중 하나로 꼽히는 에밀리 디킨슨(Emily Dickinson)입니다. 이상하고 의외의 일이죠? 그가 살아서는 별 볼 일 없는 시인에 지나지 않았다는 사실 말이에요. 하긴 별 볼 일 없다는 것도, 그의 시를 제대로 접할 수 없었던 까닭도 있었겠지요. ..
더보기
불황을 위무한 작가의 힘, 마가렛 미첼
불황을 위무한 작가의 힘, 마가렛 미첼 (Margaret Munnerlyn Mitchell, 1900.11.8~1949.8.16) 스칼렛 오하라, 레트 버틀러, 비비안 리, 클라크 게이블, 남북전쟁, "내일 생각하자. 내일은 내일의 태양이 뜰 거야."… 이만하면, 머리에 떠오르는 것, 있으시죠? 딩동~♪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Gone with the Wind)》, 맞추셨네요. 소설이든, 영화든, 아니면 다른 통로를 통해서든, 쉽게 잊혀 지지 않을 작품입니다. 그런데, 자칫했으면 이 작품과 우리는 만나지 못했을지도 몰라요. 처음엔 어느 누구도, 1037페이지 분량의 이 작품을 출판하려 들지 않았거든요. 이 거대한 대서사시를 잉태한 작가가 세간에 알려지지 않았다는 이유가 가장 컸었나 봐요. 때는 바야흐로,..
더보기
인도 최초의 여성총리, 인디라 간디
인도 최초의 여성총리, 인디라 간디 (1917.11.19~1984.10.31) 인도의 주요한 국제관문이라면, 인디라 간디 공항을 들 수 있습니다. 한국에서 인도 뉴델리로 가려면 이 공항에 도착하게 되죠. 이 공항의 이름은, 인도 최초의 여성 총리의 이름을 딴 것입니다. 여성의 이름을 따 국제공항을 명명한 것은 거의 드물지 않을까 싶은데요. 과연 어떤 사람이 길래, 그렇게 명명됐을 정도일까요. 우선, 인디라 간디는 마하마트 간디와 혈연관계는 아닙니다. 그의 아버지는 인도 독립의 아버지이자, 인도 초대 총리를 지낸 자와할랄 네루입니다. 그의 성은 결혼하면서 훗날 하원의원이 된, 남편 페로제 간디의 성을 따른 것입니다. 독립운동가 아버지의 무남독녀로 태어난 그는, 12살 때부터 독립운동에 참여했고, '리틀 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