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함께 살자(공유와 공동체)

[마을캠프5] 단골집이 있다는 것의 행복 (11/14 19:30 서울시청 9층)

 

 

서울 곳곳에 마을공동체가 움트고 쑥쑥 자라고 있습니다. 
한데 모여 수다를 떨고, 함께 몸을 부대끼며, ‘따로 또 같이 살고 있음’을 확인하는 모든 순간이 지금의 서울을 만듭니다. 서울시(서울시마을공동체종합지원센터)가 그 다채로운 현장을 공유합니다. 서울 곳곳의 마을 주민들과 어울려 커피와 초콜릿도 즐기는 가을밤 수다에 초대합니다. 

마을을 여행하는 히치하이커가 되어 보는 건 어떠세요?  (참가신청 : 무료, http://www.wisdo.me/4102)

 

[마을캠프 5회] 단골집이 있다는 것의 행복 : 골목상권과 단골집 이야기


미국 미시간주의 작은 마을 클레어. 이곳 경찰관 9명에겐 또 다른 직함이 있습니다. 
‘빵집 주인장’인데요. 그들은 왜 이런 직함을 가졌을까요?  2009년, 마을 토박이이자 경찰인 그렉 리니어슨은 111년의 오래된 동네빵집 ‘클레어 시티 베이커리’가 문을 닫는다는 말을 듣습니다. 충격이었습니다. 유년시절부터 추억과 흔적이 팥처럼 묻은 빵집이 문을 닫는다고! 더구나 심야근무를 하는 경찰관들이 ‘심야식당’처럼 빼먹을 수 없는 곳이었는데 말이죠. 소식을 들은 다른 경찰관들 역시 침통해졌습니다. 이때 누군가, 한 마디 던집니다. “이봐, 다 같이 베이커리를 살려보자!” 통했습니다. 그 마음이 주머니를 열었고, 십시일반 빵집을 사들이고선 ‘캅스 앤드 도넛(Cops & Doughnuts)’으로 이름을 바꿨습니다. 경찰과 관련된 재미있는 메뉴를 개발했고, 경찰들이 돈을 모아 동네 빵집을 살렸다는 소문이 퍼지자 많은 이들의 주목을 받았습니다. 가게가 성황을 이룬 것은 두말 하면 잔소리. 《로커베스팅》에 나온 실화입니다.


추억이 깃든 장소인 단골집의 힘은 사람들을 모으게 하는 것뿐이 아닙니다. 단골집의 성공은 거리의 호황은 물론 지역경제까지 살리기도 하죠. 또 다른 이야기도 전할까요? 이탈리아 볼로냐. 협동조합 도시로 알려진 이곳은 대학도시, 아동도서전으로도 유명하며 미식의 고장이기도 합니다. 그런 볼로냐의 1954년을 배경으로 한 이탈리아 영화 <마게리타 바의 친구들>(Gli amici del bar Margherita)을 보면, 마을의 술집인 ‘마게리타 바’에는 별의별 인간 군상이 드나듭니다. 그러다보니 마게리타 바를 중심으로 지지고 볶는 건 일상다반사인데, 이들의 관계가 재밌습니다. 서로 거짓말하고 배신하고 약 올리고 싸우면서도, 마게리타 바의 단골로서 1년에 한 번 단체사진을 찍는 것으로 유대감을 유지합니다. 서로 등 돌릴 만한 사람들을 하나로 묶어주는 것, 그것이 단골집의 매력이 아닐까도 싶은데요. 역시 단골집 하나 정도는 있어야 삶이 눅눅해지지 않을 것 같다는 생각을 새삼 들게 만듭니다. 그런 단골집 이야기 듣고 싶지 않으세요? 

(참가신청 : 무료, http://www.wisdo.me/4102) 

 

● 윤성근 (이상한 나라의 헌책방, 《이상한 나라의 헌책방》 《심야책방》 등 저자)

책을 좋아했던 그는 10년간 대기업 IT부서에서 ‘뼈 빠지게’ 일했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일과 돈의 노예가 된 자신을 발견하고 ‘좋아하는 일을 이기적으로 해보자’고 마음먹었습니다. 그리고선 2007년, 은평구 응암동에 ‘이상한 나라의 헌책방(http://www.2sangbook.com)’을 열었습니다. 책처럼 생긴 물건을 파는 곳이 아니라 책 안에 있는 가치도 나누는 곳이라는 생각으로 조금은 편협하고 엉뚱하게 책방을 꾸립니다. 마을 문화와 골목길 문화를 살리는 데 관심 많은 이 남자, 박원순 시장의 집무실도 꾸며준 은근 ‘능력자’입니다. 

                                                                                     [ 윤성근 님 ]

● 안성민 (마을기업 인큐베이터, 마포포털 ‘마포라이프’(가칭) 기획)

마포구민으로서 마을기업들이 꿈틀대고 웅지를 펼 수 있도록 도와주고 있는 이 남자, 그 마을기업들이 골목상권에서 활개 치기를 바라고 있습니다. 마을 주민들과 마을기업이 통할 때 골목이 살아난다고 믿는데요. ‘민중의 집’ 시절부터 자신이 살고 활동하는 마을에 뭐가 있는지 궁금하고 알고 싶었던 그는 ‘마포라이프(가칭)’라는 골목 가게들을 알리고 접근하게 만드는, 내 마을의 속살을 알려주는 사이트를 여럿이 함께 기획하고 있습니다. 

 

                                                [안성민님]

단골의 유래는 ‘당골’인데요. 굿을 할 때 늘 정해놓고 불러다 쓰는 무당을 뜻합니다. 

정해놓고 늘 찾아가는 단골집이 있나요? 한 번 둘러보세요.
당신에겐 어떤 단골집이 있는지. 혹시 없다면 그런 단골집 만드는 건 어때요? 
단골집이 우리의 삶을 바꿀 수 있을지도 모릅니다. 
11월 14일(목)
 저녁 7시 30분 서울시청 9층 하늘광장에서 ‘[마을캠프] 마을을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의 다섯 번째 시간 <단골집이 있다는 것의 행복 : 골목상권과 단골집 이야기>를 통해 확인하세요. 

※ 사정상 일부 변경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건축가 황두진 선생은 말합니다.
“술집이건 밥집이건 찻집이건 단골집이 있는 사람은 행복하다. 게다가 그 집이 오래되었거나 적어도 앞으로 오래될 거시라면 그 행복은 더욱 커진다.” 

공감이 가죠? 
말 없어도 내 취향과 기분을 알아서 커피를 내놓고, 지금 돈이 없어도 부담 없이 외상을 하며, 오래 죽치고 있어도 딴지 안 거는 단골집. 나도 결국은 그 집의 풍경이나 소품이 되는 단골집. 공간과 사람, 사람과 사람이 씨줄과 날줄처럼 엮인 단골집. 거대자본 프랜차이즈의 획일화된 것보다 마을의 필요와 요구, 정서가 고스란히 반영된 단골집. 

지금 당신에겐 그런 단골집이 있습니까? (참가신청 : 무료, http://www.wisdo.me/4102)